본문 바로가기

회원마당/회원글방

낙동강에 흘러와준 어린이들.

1. 우문에 현답
어른이 묻고 아이들이 답했습니다.

10월 29일 토요일 부모님 몇분과 아이들과 함께 낙동강의함안댐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이제 겨우 7~8세의 어린 아이들에게 낙동강의 아픔을 어찌 설명해야 할지 참으로 난감했습니다만, 저의 걱정의 그저 걱정으로 끝이 나더군요

함안댐에 내려 인사하는 모습이 참으로 귀엽습니다.


선생님의 질문에 아이들은 손을 들어 답을 합니다. 아이들은 정답을 알고 있었습니다.

강의 흐름을 막고 선 거대한 가물막이가 아이들에겐 이해가 가지않았던지 왜 저기에 세웠는지 자꾸만 묻습니다.



항상 그랬던것 같습니다.
애정을 가지고 현장을 주의깊게 바라보면 그곳에 질문도 있고 그곳에 답이 있었습니다.
이날도 그랬습니다.

선생님께서 아이들에게 묻습니다.
"어떤 강이 좋은 강일까요?"
아이들이 답합니다.
"물고기가 있고, 새들이 날아다니고, 수영할 수 있는 강요"

아이들의 때묻지 않은 명쾌한 답변에 저 또한 명쾌해졌습니다

2. 농지리모델링엔 농지도 마을도 없다.


가을걷이가 끝나고 나면 농지는 마을의 품속에서 고요했습니다

가을걷이가 끝난후 낙동강변의 마을은 이렇듯 고요했습니다.
낙동강을 날아오는 새들의 먹이터가 되기도 하고, 또 지나가는 길손에겐 고요한 농촌의 풍경을 선물하는 휴식처이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겨울을 이기고 다음해엔 다시 파릇파릇 생명의 기운을 붇돋아 농민들의 삶의 터전으로 제 역활을 다하는 곳이었습니다.

그러나, 낙동강 살리기라는 미명아래 진행되는 농지리모델링은 기존 농촌의 풍경뿐만아니라 농민의 삶 전체를 파괴하고 있는듯 합니다.

그러나 어떤곳은 적치장이라는 이름으로 황폐해지고 있습니다.

또 어떤곳은 농지리모델링이라는 이름으로 무덤처럼 변해갑니다.

농지리모델링과 적치장에는 농지도 마을도 보이지 않습니다.


농지리모델링 지역에 해당되는 마을의 앞 논 밭은 파헤쳐져 생명의 기운을 잃어가고 있습니다.
적치장엔 오직 산더미 처럼 쌓이는 준설토와 모래먼지만이 자욱합니다.
마을앞은 거대한 무덤처럼 변해 마을까지 죽어있는듯 보입니다.

농지리모델링 지역은 농지를 죽음의 땅으로 바꾸는 농지 파괴현장이며, 준설토 적치장은 강의 생명을 죽여 쌓아두는 무덤으로 변해가고 있습니다.

3. 강과 인간의 사이공간 "둔치"

동물과 인간이 함께 상생 하던 생명의 공간, "둔치"

둔치는 상생의공간이 아닌 인간만을 위한 소비의공간이 되고있다.

균형이 무너지면 그 책임은 오롯이 인간에게 주어진다.



둔치는 강과 인간의 사이공간이었습니다.
그곳에서 인간은 강의 품을 빌려 농사를 지으며 생계를 이어갔고, 동물들에겐 쉼터로, 먹이터로 그렇게 상생의 공간으로 존재해왔습니다.
그러나 4대강 살리기는 그 상생의 공간을 오직 인간의 욕망이 무섭게 투여되는 소비의 공간으로 파괴의 공간으로 탈바굼 시키며, 자연과 인간의 균형을 무너드리고 있습니다.
균형이 무너진 생태계, 그 댓가는 오롯이 인간에게 주어질지 모를일입니다

4. 아직 되돌릴 시간이 있습니다.


둔치에 흐드리지게 피어난 갈대는 그냥 이대로 두라 한다.

스스로 그러한 모습이야 말로 최고의 풍경이다.

강이 주는 아름다움을 어디서 다시 볼것인가?

이렇게 아름다운 강의 모습을 우리는 다시는 볼 수 없을지 모릅니다.
강의 바람과 물과, 강의 뭇 친구들이 만들어주던 이 아름다운 대신 인간들이 톱으로 삽으로 포크레인으로 만든 인공적인 나무와 숲을 보아야 할지도 모릅니다. 아니 그렇게 될겁니다.

아무리 인간이 잘 만들어놓아도 자연이 만들어놓은 그 모습을 따라 갈 수 없음을 인정해야 할것입니다.

더 늦기 전에 강으로 흘러가 주십시요
아직, 우리에겐 저들의 강 파괴, 생명파괴를 막을 시간이 있습니다.
한문이라더 강으로 와 주신다면 그것이 힘이되어 생명의 강을 지켜 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