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시멘트 가루로 뒤덮힌 생태하천조성사업

 

 

 

 

산호천 생태하천 조성사업의 실상은

시멘트로 뒤덮힌 하천과 죽은 물고기떼.

 

 

오늘(925), 생태하천 조성사업이 진행 중인 산호천에서 물고기들이 죽은 채로 떠올랐다. 하류 쪽에는 죽지는 않았지만 숨넘어갈 듯 헐떡거리는 물고기들을 왜가리 등 새들이 먹이로 먹고 있더라는 제보도 전해져 왔다.

 

공사가 한창인 합성교 아래 하천을 살펴봤다. 복개되었던 구조물을 철거하면서 하천바닥에 폐콘크리트와 철근들이 고스란히 노출되어 있었고, 하천바닥에서 큰크리트를 그대로 부수면서 발생한 시멘트 가루가 하천바닥에 쌓여 있었다.

물고기의 폐사는 어제, 오늘 내린 비로 하천바닥의 시멘트 가루들이 휘젓듯이 떠오르면서 발생한 것으로 보였다.

  

흐르는 하천수를 떠서 산성도를 측정한 결과 pH10이 나왔고, 하천바닥을 긁어 부옇게 된 물을 측정했더니 pH10.9라는 수치가 나왔다. 콘크리트 타설 작업을 할 때의 산성도가 대략 pH11~12 정도이니 pH10.9라는 수치는 시멘트 물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

 

 

공사현장 바로 위쪽의 상태를 확인하려고 합성교 아래에 있는 보에 접근하니 이곳에서는 더 매캐하고 역겨운 악취가 났다. 하천수를 따라 아래로 흘러가는 시멘트가루가 눈으로 확인되는 정도였다.

 

 

합성교 위쪽은 오래전에 하상정비작업을 한 곳이지만 바닥에 이끼가 심하게 끼었고, 악취도 났다. 그리고 지저분한 부유물질들이 덩어리진 채로 떠내려가고 있었다.

합성교 위쪽의 두 지점에서 측정한 산성도는 각각 pH9.2pH9.7로 나왔다. 콘크리트를 부수고 있는 현장으로부터 10여 미터 아래쪽의 산성도가 가장 높게 측정된 것으로 보아 시멘트 가루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공사현장에서 인부들에게 물고기가 죽은 원인을 물으니 생활하수 때문인 것 같다고 했고, 창원시의 현장조사 결과도 동일했다. 그래서 창원시는 공사 중단과 함께 폐사한 물고기를 건져내라는 지시만 내리고 현장을 떠났다.

하지만 마구잡이로 진행되고 있는 공사현장과 함부로 방치된 폐콘크리트 덩어리들, 그리고 하천바닥을 뿌옇게 뒤덮은 시멘트 가루들을 보고서도 생활하수 핑계를 대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오후 310분경에 창원시 재난안전하천과 생태하천복원추진 담당자로부터 전화가 걸려 왔다. 창원시 공무원이 참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루어진 채수이므로 인정하기 어려우니 다시 하자는 것이다.

다시금 전화를 걸어 현장에 대한 조치방안을 질문했더니 추후 공사를 재개하기 전에 물길을 돌리는 작업을 할 것이고, 하천바닥은 몽땅 깨어내서 폐기물로 처리할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답답한 마음에 바닥에 있는 시멘트가루를 다 긁어낼 거냐고 물었지만 최대한으로, 할 수 있는 만큼 하겠다는 두루뭉술한 답변이다.

이것이 바로 지금 창원시가 하고 있는 생태하천 조성사업의 실상이고, 창원시의 수준이다.

 

창원시에서 하고 있는 생태하천 조성사업을 들여다보면 하나같이 자전거길을 만들고, 데크를 설치하고, 바닥이나 법면은 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런 것들에 대해서 끊임없이 문제제기를 하고 있고, 특히 시멘트의 독성에 대한 우러가 큼을 강조하지만 창원시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시민사회는 생태하천 민관협의회의 구성과 활동을 독려해 내기는 했지만, 매번 시설물을 설치하지 말라는 요구와 구조물 개수를 줄이고, 재질을 바꾸라는 등 겉치장에만 몰두하는 창원시와 용역업체들과의 논쟁에 지칠 지경이다.

 

창원시에게 생태하천 조성사업이란 무엇인지를 진지하게 묻고 싶다. 복개된 곳을 걷어내고 세상 밖으로 하천을 드러내는 것은 훌륭한 사업이지만, 오래된 콘크리트라도 저렇게 함부로 깨부수고 방치하여 물고기 폐사라는 사태까지 발생하게 만든 책임을 면할 수는 없다. 더구나 공사를 시작하기 전에 세심하게 방지책을 마련했더라면 지금과 같은 일은 벌어지지 않았다. 그래서 더욱 더 창원시의 무심함을 탓하게 된다.

 

창원시의 생태하천 조성사업이 정말 제대로 잘 이루어져 생태하천이라는 이름이 부끄럽지 않게 되기를 바라고 또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