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원마당/회원글방

낙동강의 아픔을 가슴에 담고온 하루

5월15일 대학생기자 - 기자초정 낙동강하구 ∼ 지리산댐 예정지 ∼ 실상사까지 답사   

푸르러야 할 낙동강변이 사막처럼 황폐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정말이지 하루코스로서는 벅찬 일정이었습니다. 아침 6시30분에서 진주에서 출발하여 창원을 거쳐 부산에 8시30분에 도착하였습니다. 낙동강 하구로 이동하여 하지만 참가자들의 왜 이제야 이런 행사에 4대강사업공사현장에 참석하게 되었는지 안타까와하는 대학생기자들의 신음은 전체 답사일정에 활력소가 되었습니다. 관심과 질문과 취재경쟁은 한마디로 치열하였습니다.

 

대학생 기자들의 질문과 답이 오가고 있습니다.

열심히 설명하시는 교수님들의 열정이 돋보입니다.

낙동강하구에서

낙동강 하구 하구둑 추가 건설현장입니다. 한쪽에서 시커먼 준설토가 퍼올려지고 있는데 그 속에 살고 있는 잉어가 숨을 쉬기 위하여 물위로 떠올라 있습니다. 4대강사업 공사가 물속 생물의 숨통을 조이고 있는 처참한 상황입니다.

하구둑에서 만난 낙동강지키기부산시민운동본부 김경철국장은 4대강사업을 다음과 같이 정리하엿습니다.

▶4대강사업은 낙동강 하구의 생태적 가치를 인정하지 않았다. ▶수심깊이를 일률적으로 하는 준설은 생물다양성을 파괴한다. 인공습지 조성은 별 효과가 없다. ▶서낙동강은 중금속으로 오염돼 있어 큰 문제다. ▶제2하구둑 건설은 바다와 강의 생태계를 단절시키는 것으로 수자원공사의 일자리를 만드는 것 외 좋은점 없다. 기존의 하구둑을 허물자고 하는데 사회구성원들의 동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곳은 무논조성으로 을숙도를 찾는 철새들의 먹이터로 각광받고 있는 염막지구와 친수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는 대저지구 입니다. 그 곳이 준설토 투기장으로 조성되고 있습니다. 

창원 본포나루에서

낙동강 창원시 본포나루는 낙동강 4대강사업 구간에서 마지막 남은 모래톱이었습니다. 이곳에도 죽음의 포크레인 삽질이 시작되었습니다. 아름답던 그곳에 생채기가 나기 시작하였습니다.

강의 모래톱은 물속 생물들의 서식지 역할을 하고 오염된 강물을 정화시켜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곳에 기대어 살던 많은 동물들은 이제 어디로 갈까요? 모래톱은 낙동강 수질을 정화시켜 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여 왔는데 낙동강이 이렇게 공사판으로 변해버리면 영남주민들의 식수는 어떻게 될까요?

함안보에서
  박재현교수님을 만났습니다.
박재현교수님은 함안보 침수피해문제를 끈질기게 제기하여 결국 함안보 수위관리를 5m 보높이를 10m로 조정하게 만들었습니다.

 
함안보에 아직 살아있는 비경이 있었습니다. 공사전의 함안보 주변은 모두 이렇게 아름다운 곳이었습니다. 물과 둔치가 만나는 곳은 버들숲, 모래, 자갈이 있어 물고기들의 서식지가 되있습니다. 이곳도 앞으로 사라지게 될까요?  

그런데 지금....
물과 둔치가 만나는 곳은 큰 돌로 덮었고 강 한가운데 저절로 퇴적된 섬은 물흐름을 막는다며 긁어내고 있습니다. 물은 썩어가고 있고 물고기들은 죽어서 물위에 떠오르고 있습니다. 참 너무도 어이없는 아이들 장난하는 것 같습니다. 있는 것을 다 없애버리고 비슷한 것을 만드는 것이 4대강사업이라고 하니 말입니다.

남강댐에서

남강댐에서 기자들과 박현건교수님이 만났습니다. 초반부터 분위기는 진지했습니다.
남강댐물 전문가 박현건교수님은 올해 남강댐물은 이상하게 평년보다 물이 많이 차있다고 하였습니다. 남강댐은 부산 경남주민들의 재해예방을 위한 홍수조절지로서 홍수시 물을 사천만으로 인위적으로 빼내기 위한 대책으로 만들어졌다고 하였습니다. 만들어놓고 보니 물이 차있어서 식수로 사용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런데 남강댐 아래에 불과 200m 아래에 진주시민 수만명이 살고 있어서 홍수폭탄을 이고 사는것과 같다고 합니다.

그런데 정부는 낙동강수질 개선을 위하여 4대강사업을 한다면서 부산시민들에게 좋은물 남강댐물을 공급하겠다고 2조원의 예산을 투자하겠다고 하는 것은 너무도 기가막힌 일입니다. 박교수님은 이 예산 10분의1만 낙동강과 정수시설에 투자하면 더좋은 물을 먹을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