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주남저수지 재두루미 12마리 월동시작

주남저수지의 겨울 손님들

물닭 쇠오리 청머리오리 큰고니, 큰기러기 등 8천여마리와 함께 재두루미 12마리 불안한 월동이 시작되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0ea4b3e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40pixel, 세로 960pixel

10월22일 동판저수지의 큰기러기


10월20일 주남저수지 철새모니터링을 실시하였습니다.  물닭 쇠오리 흰뺨검둥오리 큰기러기 쇠물닭 청둥오리 청머리 홍머리 고방오리 넓적부리 등 총 8천여마리의 철새가 관찰되었습니다. 이 중 개체수가 제일 많은 철새는 물닭 3500마리, 다음은 청머리 1400마리, 그 다음은 쇠오리 1200마리 순으로 관찰되었습니다. 10월의 주남저수지에는 생이가래, 개구리밥 자라풀 등이 수면부를 뒤덮고 있는데 이들 수생식물들이 바로 물닭, 쇠오리, 청머리 등 오리류들의 풍부한 먹이가 되기 때문입니다.

주남저수지에서 특정종을 보호하면 다른 종들까지 보호할 수 있게 해주는 우산종은  재두루미 큰기러기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 입니다. 이 중 큰고니 300여마리와 큰기러기 55마리는 무점 앞 동판저수지 주로 관찰되었습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G_9420.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3pixel, 세로 40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5년 10월 30일 오후 7:49

10월30일 동판저수지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큰고니, 2015년 겨울철새들의 남하시기 처음 쵤영된 큰고니 사진입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G_9485.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3pixel, 세로 40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5년 10월 31일 오후 6:21

10월31일 주남저수지 백양들녘에서 재두루미 95마리가 먹이활동을 하기 위하여 착지하고 있습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G_9500.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3pixel, 세로 40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5년 10월 31일 오후 6:26

하지만 재두루미가 편안하게 먹이활동을 할만한 안정된 서식환경이 못된다. 수시로 고개를 치켜들고 주변을 경계해야 합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G_9506.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3pixel, 세로 40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5년 10월 31일 오후 6:30

11월부터 창원시와 농민들 사이에 생물다양성관리계약이 효력을 발생하지만 벼베기 등 가을수확이 끝날때까지는 어쩔 수 없이 농기계의 출입이 빈번합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G_955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3pixel, 세로 40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5년 10월 31일 오후 7:18

몰래 뒤로 접근하여 이렇게 사진찍는 행동은 안됩니다. 좀더 좋은 사진 찍겠다고 가까이 다가가면 오히려 재두루미는 더 멀리 달아나버린다는 사실을 알아야 합니다.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IMG_9663.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33pixel, 세로 400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5년 11월 03일 오후 6:52

11월3일 주남저수지 주변 송용들판에서 8마리의 재두루미가 관찰되었다. 방금 3마리는 다른 곳으로 이동했다. 주남저수지 수위가 높아 갈대섬이 물에 잠겨 있어 재두루미의 잠자리가 사라져 버렸다. 지난밤을 저수지 주변 들녘에서 잠을 잔 것으로 추정되었다. 

이보다 앞서 11월1일 오후 3시~5시 대산들판 방향에서 날아온 재두루미 22마리는 2~30여분을 주남저수지 상공을 갈대섬에서부터 화양 석산 금산 방향까지 낮게 비행하면서 저수지 안에 앉을 자리(수위가 낮고 모래톱이 있는 곳)를 찾아 헤맸으나 앉지 못하고 백양들녁에 내려앉는 것이 관찰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