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요활동/현안및조직

붕괴위기 남지철교는 시작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8월23일 구 남지철교의 붕괴위기속에 지역시민사회는 남지철교 붕괴위기의 원인을 4대강사업으로 명확히하고 그 책임을 질것을 정부에 요구하는 기자회견을 남지철교가 있는 현장에서 가졌습니다.

어쩌면 남지철교의 붕괴 위기는 이제 시작인지도 모릅니다. 많은 전문가들이 누차 경고했건만 정부는 귓등으로도 듣지 안았습니다. 귀막고 눈감고 그저 속도전만 강행했을뿐 안전대책이나 점검은 이루어지지 않았다는것이 명확해 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현장에서 만났던 어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제발 남지철교 하나로 끝이 났으면 좋겠다고 하더군요. 그러나 지금껏 해온 작업방식을 본다면 절대 그런 요행은 일어나지 않을것만 같았습니다.
더이상의 피해는 없어야 하겠지만 워낙 속도전만을 강행했던 사업이라 ...

8월23일 현장에서 있었던 기자회견 전문과 현장 사진을 올립니다.

공식적인 기자회견전 박창근 교수님께서 현장상황에 대해 설명하시고 계십니다.

왜관철교 붕괴에 이어 남지철교 붕괴위기

남지철교 붕괴위기 원인은 4대강사업이다.

남지철교가 822일 오전 교각이 내려앉으면서 상판이 쪼개져 붕괴 위험에 처해 있다. 지난 625일 새벽 4대강사업 준설로 인한 침식으로 왜관철교가 붕괴된 후 불과 2개월만에 남지철교에서 같은 형태의 사고가 재발된 것이다.

붕괴위기에 처한 남지철교는 1931년에 가설공사를 시작하여 1933년에 개통하여 당시의 최신 기술이 사용된 교량으로 한국 근대사에서 가장 아름답고 중요한 교량 중 하나이다. 6·25전쟁 때는 중앙 부분 25m가 폭파되었으며 1953년 복구했다. 1994년 정밀안전진단 결과 차량통행이 금지되기까지 60여 년간 사용되었다. 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남지리. 경남 창녕군 남지읍 남지리와 함안군 칠서면 계내리를 연결하는 남지철교는 등록문화재 145호로 지정되어 있다.

남지철교는 왜관철교 붕괴사고 이후 정부가 실시한 낙동강 본류 교각에 대한 전수조사결과 위험판정을 받았다. 이에 수자원공사는 보도자료를 통해 남지철교 167번 교각에 대한 보강공사를 계획하였으며 6번교각 보강공사를 위한 시트파일을 박는 도중 교각이 내려앉고 상판이 갈라지는 위기사태가 발생하였다.

부산지방국토관리청이 왜관철교 붕괴 원인을 두고 억지를 부렸던 것과 같이 수자원공사 역시 남지철교 붕괴위험은 4대강사업 때문이 아니라 노후화와 연약지반으로 인한 것이라는 거짓해명으로 전전긍긍하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수자원공사가 국민을 속이려 해도 교각이 침하되고 상판이 훼손되어 붕괴 직전인 남지철교의 사고원인은 4대강사업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정부는 남지철교의 붕괴위험을 알고도 은폐하였다.

지난 62일 낙동강지키기부산본부에서 촬영한 사진을 보면 남지철교 3번 교각에 대한 보강공사 중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지난 74일에 촬영한 남지철교 사진을 보면 6번교각이 하상의 세굴로 인하여 지반과 완전히 분리되어 붕괴의 징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6번 교각에 대한 보강공사는 하지않고 세굴된 교각 주변의 하상을 그대로 호안블럭으로 덮어버리는 공사를 하고 있어 현장을 은폐하려고 한것이 아닌지 의구심마저 든다.

남지철교를 붕괴위기로 몰아간 것은 결국 남지철교의 붕괴위험의 현장을 목격하고도 신속한 사전조치를 취하지 않고 현장을 은폐한 정부와 시행업체에게 있다.

남지철교 붕괴위기는 4대강사업의 준설이 근본적인 원인이다.

수자원공사는 남지철교 교각침하와 상판균열은 다리 노후화와 연약지반이 이유라며 4대강사업의 준설로 인한 것이 아니라고 사실을 왜곡하고 있다.

그러나 4대강사업이 진행되기 전의 남지철교 교각이 위치하고 있는 모습을 본다면 4대강사업이 진행중인 현재의 모습과는 판이하게 다름을 확인할 수 있다. 문제의 6번교각은 둔치 깊숙히 위치하고 있어 강물로 인한 세굴의 영향을 덜 받을 뿐만 아니라 안정화된 식생으로 인하여 세굴로 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할 수 있다.

수변부 준설 이 한창이다.

이러한 남지철교는 4대강사업이 진행되면서 주변의 둔치는 모두 파헤쳐지고 준설로 인하여 유속이 빨라지고 지반이 교란되어 교각의 안전성마저 침범하게 된 것이다.(현장사진 62, 74, 710)

625일 왜관철교 붕괴이후 교량안전진단실시 결과 남지철교 위험

수자원공사가 장마비로 지반이 약화되어 교각이 침하하였다고 하는 것은 전혀 사실관계와 다르다. 수자원공사는 623번교각에 대하여 보강공사를 하였고 74일에는 세굴이 발생한 6번교각의 실태를 알았다. 이때 곧장 교각6번에 대한 보강공사를 했다면 이번과 위기사태는 발생하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4대강사업의 준설로 인하여 붕괴된 것으로 확인된 왜관철교 붕괴 이후 실시한 낙동강 본류 다리의 안전진단조사에서 남지철교 위험이라는 진단을 받고 6번교각에 대한 보강공사에 들어갔다.

만약 남지철교 보강사업이 4대강사업과 관련이 없다면 수자원공사가 보강사업을 할 리 없다. 왜냐하면 수자원공사는 하천을 관리하는 조직이 아니고 더구나 남지철교는 등록문화재로 관할청인 창녕군이 보강공사를 해야하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수자원공사가 이와같이 아전인수격으로 변명하는 모습이 한심하다.

4대강사업으로 본격적인 준설을 하기 전에 위험 교량에 대한 보강공사를 먼저하는 것이 일의 순서이다. 낙동강에서 95%이상 준설을 완료한 시점에서 교량보강공사를 한다는 것은 공학적으로도 상식적으로도 적절하지 않다. 더구나 시민사회단체와 대한하천학회는 4대강사업 준설로 인하여 낙동강 본류의 교각이 붕괴할 우려가 있으므로 교각 보강공사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요구하였다. 이러한 전문가와 시민사회의 요구를 외면한 결과 남지철교 붕괴위험 사태가 발생한 것이다.

4대강사업 공사현장에서 문화재등록 왜관철교와 남지철교 2개의 다리가 붕괴되거나 붕괴의 위기에 처했다. 특히 두개의 사고 모두 특별한 인명피해가 없었던 것이 천만 다행이었다. 그러나 4대강사업이 이대로 지속된다면 앞으로 더큰 재앙이 다가올 수 있음을 경고한다. 정부는 4대강사업을 즉각 중단하고 4대강과 지류에서 벌어지는 역행침식과 안전대책을 수립하여 국민의 생명안전부터 챙겨야 할 것이다.

2011. 8. 23